로고 이미지 SOLARIS
>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6)
    • Cloud Computing (4)
      • 1. AWS (2)
      • 2. VPC (0)
      • 3. EC2 (1)
      • 4. RDS (0)
      • 5. S3 (0)
      • 6. CloudFront (0)
      • 7. IAM (1)
    • 잡담 (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AWS EKS클러스터와 Nodegroup 생성하기

    2024.01.15 by 채(彩)

  • [IaC] Terraform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3-Tier Test 환경 구축하기

    2023.09.14 by 채(彩)

  • AWS Cloud9과 EKS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해보기

    2023.03.13 by 채(彩)

  • AWS EC2에 Session Manager(AWS SSM)로 접근하기

    2022.12.22 by 채(彩)

  • 1. AWS IAM 이란? (IAM 기초)

    2022.11.04 by 채(彩)

  • [AWS] 1. AWS(Amazon Web Services)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2022.10.18 by 채(彩)

AWS EKS클러스터와 Nodegroup 생성하기

안녕하세요 이테크시스템 테크블로그입니다. 오늘은 Bastion 서버를 생성하고 AWS EKS클러스터와 연결 + Nodegroup 생성까지 진행해 보겠습니다. [ 클러스터 생성 방법 과 장단점 ]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에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1. 콘솔로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 2. EKSCTL CLI를 통해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 3. EKSCTL yaml파일을 통해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 각각의 장단점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1. 콘솔로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 장점 : 직관적이다, 원하는 설정을 꼼꼼히 확인할 수 있다. 단점 : 형상 관리가 어렵다. 한번 삭제하면 다시 생성하기 곤란하다. 2. EKSCTL CLI를 통해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 장점 : 간편하게 커맨드라인을 통해 생성이 ..

카테고리 없음 2024. 1. 15. 17:56

[IaC] Terraform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3-Tier Test 환경 구축하기

오늘은 Terraform을 이용하여 3-Tier Test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Terraform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Terraform은 HashiCorp사가 만든 오픈 소스 "코드형 인프라" 툴입니다. 개발자가 HCL(HashiCorp Configuration Language)이라고 불리는 언어를 사용하여 "최종 상태" 클라우드 또는 온프레미스 인프라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Provider를 통해 액세스 가능한 API로 많은 플랫폼 또는 서비스와 함께 작동합니다. 변경 계획과 적용을 분리하여 변경할 내용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여러 장소에 같은 구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드는..

Cloud Computing/1. AWS 2023. 9. 14. 11:39

AWS Cloud9과 EKS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해보기

안녕하세요 채(彩)입니다. 오늘은 AWS Cloud9을 활용하여 Kubernetes서비스인 AWS EKS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해보겠습니다. 독자분들께서 Kubernetes에 대해서 초~중급수준의 지식을 보유하고 계시다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라 생각됩니다. 다음 실습은 AWS hand-on workshop을 참고하여 진행하였습니다. 참조 링크 : https://catalog.us-east-1.prod.workshops.aws/ 오늘의 실습 진행 과정은 Cloud9 환경 구성, eksctl을 통해 EKS 클러스터 배포, ECS repo 생성하여 이미지 등록, Ingress controller 생성, 서비스 배포 순서로 진행됩니다. 우선 EKS를 이해하기 위해서 Kubernetes의 Component부터 차..

카테고리 없음 2023. 3. 13. 17:49

AWS EC2에 Session Manager(AWS SSM)로 접근하기

Session Manager란 무엇일까? AWS Session Manager(이하 SSM)는 AWS VPC 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EC2 인스턴스에 대해 Putty나 MobaXterm같은 SSH Client접속 없이 콘솔에서 바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Managed Service 입니다. Session Manager는 바로 사용할 수 없고 몇가지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콘솔에서 접근이 가능합니다. SSM의 장점 Bastion Host가 필요 없습니다. (관리 포인트 줄어듦, 비용 절감) key pair 필요 없습니다. Private Instance에 바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SSH Client를 통해서 접속한 것과 거의 같습니다. 오늘 실습은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VPC, 서브넷 생성 ..

Cloud Computing/3. EC2 2022. 12. 22. 15:35

1. AWS IAM 이란? (IAM 기초)

1.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nt) IAM은 쉽게 말해서 AWS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서비스입니다. 즉, AWS 서비스내에서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인증과 인가를 제어하는 서비스입니다. *인가 : 인정하여 허가함 AWS 계정 생성시 모든 서비스 & 리소스에 접근 권한이 있는 단일 ID로 시작하는데 이를 루트(root) 사용자라고 한다. AWS에서는 루트(root) 사용자로 작업하지 않는 것을 강력히 권장한다. WHY? : 루트(root) 계정은 모든 권한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사용시 or 해킹시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루트 계정에는 MFA (Multi Factor Authentication : 쉽게 말해서 2차 인증 절차)를 사용할 것을 강력히 ..

Cloud Computing/7. IAM 2022. 11. 4. 11:03

[AWS] 1. AWS(Amazon Web Services)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1.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를 먼저 이해하기 전에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해서 먼저 이해 할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인터넷을 통해 컴퓨팅 자원을 빌려 사용할수 있는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는 호스팅업체에 사용한 만큼의 요금을 지불하고 업체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의 컴퓨팅 자원을 임대해준다. 대표적인 컴퓨팅 자원으로는 [컴퓨터(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Ai 머신러닝, IoT, 컨테이너]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2. AWS (Amazon Web Services)란? 그렇다면 AWS는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흔..

Cloud Computing/1. AWS 2022. 10. 18. 17:3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Solaris's Garden
SOLARIS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